광고
太公曰(태공왈)
孝於親(효어친)이면
子亦孝之(자역효지)하나니
身旣不孝(신기불효)면
子何孝焉(자하효언)이리오.
태공이 말하기를,
내가 어버이에게 효도하면
내 자식 또한
나에게 효도하나니,
내가 어버이에게
효도하지 않았는데
내 자식이 어찌
나에게 효도를 하겠는가?
-明心寶鑑•孝行篇-
何어찌하,焉어찌언,
●
太公(태공,BC1211-1073):
姓은 姜(강)이고,
氏는 呂(여)이며,
이름은 尙(상) 또는 望(망),
중국 산동성 태생,
渭水(위수) 가에서 낚시질하다가
周나라 文王에게 기용되어 殷(은)을 멸하고,
齊(제)나라에 분봉되었다.
●
If I am good to my parents, my children would be good to me. If I am not good to my parents, how could expect my son to be good to me?
'고전 - Oriental Classics - 古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太公曰(태공왈) 欲量他人(욕량타인) ~~~~~-明心寶鑑 명심보감 / 正己篇 정기편- (0) | 2016.08.05 |
|---|---|
| 太公曰(태공왈) 勿以貴己而賤人하고 (물이귀기이천인) ~~~~~~~ -明心寶鑑 명심보감 •正己篇 정기편- (0) | 2016.08.05 |
| 景行錄云(경행록운) - -明心寶鑑 명심보감 •正己篇 정기편- (0) | 2016.08.05 |
| 父兮生我(부혜생아)하시고 母兮鞠我(모혜국아)하시니 ~~~~ -明心寶鑑 명심보감 /孝行篇 효행편- (0) | 2016.08.05 |
| 不結子花(불결자화) 休要種(휴요종) 無義之朋(무의지붕) 不可交(불가교) - 明心寶鑑 명심보감/交友篇 교우편 (0) | 2016.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