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書三經중
사서삼경
孟子를 공부하면
맹자
발표력과 표현력이 길러진다.
맹자의 첫 장은 다음과 같다.
“孟子見梁惠王하신대
(맹자견양혜왕)
王曰
(왕왈)
叟不遠千里而來하시니
(수불원천리이래)
亦將有以利吾國乎잇가
(역장유이리오국호)
孟子對曰
(맹자대왈)
王은 何必曰利잇고
(하필왈리)
亦有仁義而已矣니이다
(역유인의이이의)
맹자가
양나라 혜왕을 만나보니,
왕이 말하기를,
"장로께서
천리를 멀다 않고 오셨으니
장차 내 나라를 이롭게
해주실 수 있겠습니까?
맹자가 대답하여 말하기를
"왕은 어찌 꼭
이익을 말씀하십니까?
또한 仁과 義가
있을 뿐 입니다.")
孟子는
先義後利(선의후리)
즉 옳음(義)을 먼저 하고
이익을 나중으로 하라고 강조하였으며,
또 非其義也오 非其道也면
祿之以天下라도
弗顧也하며
繫馬千駟(계마천사)라도
弗視也니라
[그 義가 아니고 그 道가 아니면 천하를 녹봉으로 주더라도 돌아보지 않고,
4천필의 말을 매어 놓더라도 쳐다보지도 않는다]
仁은 人心也요
義는 人路也라
(仁은 사람의 마음이요,
義는 사람의 길이라)하였다.
孟子를
한 글자로 대표하면
의(義)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흔히들,
맹자를 여름에 읽으면
서릿발같은 맹자말에
서늘해 지고,
논어를 겨울에 읽으면
공자의 인간미로
따뜻해 진다고 합니다!
'고전 - Oriental Classics - 古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 孫眞人養生銘云(손진인양생명운) (0) | 2016.08.04 |
---|---|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 太公曰(태공왈) (0) | 2016.08.04 |
-論語•陽貨 제6장- (0) | 2016.08.04 |
子曰(자왈) 道聽而塗說 (도청이도설)이면 德之棄也 (덕지기야)니라. (0) | 2016.08.04 |
非無安居也 비무안거야 我無安心也 아무안심야 非無足財也 비무족재야 我無足心也 아무족심야 - 묵자 (0) | 2016.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