曾子曰(증자왈)
以能(이능)으로
問於不能(문어불능)하며
능력이 있으면서
능력이 못한 이에게 물으며,
以多(이다)로
問於寡(문어과)하며
많이 알아도
적게 아는 이에게 물으며,
有若無(유약무)하며
實若虛(실약허)하며
있어도 없는 듯이 하고,
꽉 차 있어도 빈 듯이 하며,
犯而不校(범이불교)를
昔者(석자)에
吾友嘗從事於斯矣러니라
(오우상종사어사의)
자신을 범하여도
따지지 않는 것을,
예전에 내 벗(안연)이
일찍이 이에 따랐다.
-論語•泰伯 제5장-
Master Zeng(曾子) said,"Although he was able,he put questions to those who were not, although he had many talents, he put questions to those who had few,he had yet he appeared to lack,he was full he seemed empty,although he was offended against,he did not fight back.At one time my friend always used to devote his efforts to these ends."
'고전 - Oriental Classics - 古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凡事(범사)에 留人情(유인정)이면 後來(후래)에 好相見(호상견)이니라 -明心寶鑑 명심보감•戒性篇 계성편- (0) | 2016.08.05 |
---|---|
景行錄云(경행록운) 屈己者는 (굴기자) 能處重하고 (능처중) -明心寶鑑 명심보감 •戒性篇 계성편- (0) | 2016.08.05 |
愚濁生嗔怒는 (우탁생진노) 皆因理不通이라 (개인리불통) -明心寶鑑 명심보감 •戒性篇 계성편- (0) | 2016.08.05 |
景行錄云(경행록운) 人性(인성)이 如水(여수)하여 -明心寶鑑 명심보감•戒性篇 계성편- (0) | 2016.08.05 |
爾謀不藏이면 (이모부장) 悔之何及이며 (회지하급)... -明心寶鑑/명심보감•存心篇/존심편- (0) | 2016.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