福兮常自惜하고
(복혜상자석)
勢兮常自恭하라
(세혜상자공)
복이 있거든
항상 스스로 아끼고,
권세가 있거든
항상 몸소 삼가라.
人生驕與侈는
(인생교여치)
有始多無終이라
(유시다무종)
인생에서 교만과 사치는
시작은 있으나
끝이 없음이 많으니라.
If you are blessed, always value your blessings. If you have power, always be careful about yourself. In life, pride and extravagance have a beginning, yet they often don't have an end.
-明心寶鑑•省心篇上-
福복복,兮어조사혜,常항상상
自스스로자,惜아낄석,勢권세세 恭삼갈공,驕교만할교,
與더불어여,줄여,侈사치할치
始처음시,終끝종,
'고전 - Oriental Classics - 古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貧居鬧市無相識이요 (빈거료시무상식) -明心寶鑑 명심보감 •省心篇上 성심편상- (0) | 2016.08.08 |
---|---|
黃金千兩(황금천량)이 未爲貴(미위귀)요, 得人一語(득인일어)가 勝千金(승천금)이니라. -明心寶鑑 명심보감• 省心篇上 성심편상- (0) | 2016.08.08 |
有麝自然香(유사자연향)이니 何必當風立(하필당풍립) -明心寶鑑 명심보감 •省心篇上 성심편상- (0) | 2016.08.08 |
是非終日有(시비종일유)라도 不聽自然無(불청자연무)니라 -明心寶鑑 명심보감 •省心篇上 성심편상- (0) | 2016.08.08 |
巧者(교자)는 拙之奴(졸지노)요, 苦者(고자)는 樂之母(낙지모)니라 -明心寶鑑 명심보감• 省心篇上 성심편 상- (0) | 2016.08.08 |